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세전수익률, 세후수익률, 은행예금 환산수익률, 채권 만기수익률 차이점

by kellyeasy 2025. 1. 11.
반응형

 

각종 금융상품에 투자를 할 때는 수익률을 잘 계산해야 합니다. 

그런데 수익률에도 여러 가지 수익률이 있다는 것을 알고 계시나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여러가지 수익률과 그 계산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여러가지 수익률

 

 

1. 세전수익률

 

 

세전 수익률은 계산할 필요가 없이 쉬우며, 금융상품에 흔히 표기되어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은행 정기 예금이 5% 라고 하면, 세금을 떼기 전에는 예금한 돈의 5% 만큼의 이자를 받을 수 있다는 얘기입니다. 

그래서 100만원을 가입하면 이자로 5만 원을 받게 되는데 이게 세전 수익입니다.

 

하지만 중요한 것은 세후수익률입니다. 세금을 떼고 실제로 나에게 들어오는 돈이 진짜 수익률이기 때문입니다. 

 

 

 

2. 세후수익률

 

 

여러가지 금융상품에 투자하면 그에 따른 수익에 대해 세금이 부과됩니다.

 

(예) 예를 들어 금리가 5%인 1년 정기예금에 100만 원을 가입할 경우, 이자소득으로 5만 원을 받게 됩니다.

그러나 실제로 투자자는 이 중에서 이자소득세로, 받는 이자의 15.4%(이자소득세 14% +주민세 1.4%=15.4%)를 원천징수당하게 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이 경우 5만원의 15.4%인 7700원을 제외하고 42300원만 받게 됩니다. 세전수익률은 5%이지만 실제로 우리가 수령하는 세후수익률은 4.23%인 것입니다. 

 

공식

예금의 세후수익률 = 세전수익률 * (1-0.154)

= 5% * 0.846 = 4.23%

 

 

정기 예금은 계산이 간단하지만, 채권의 경우 세후수익률을 계산하는 것이 조금 복잡해집니다.

 

2024년 현재에는, 채권의 표면금리(발행금리)에 해당하는 이자에만 15.4% 의 세금이 부과되고, 매매차익에 대해서는 비과세 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표면금리가 낮은 채권을 잘 선별하여 투자한다면 세금 부분에서는 비교적 유리하다고 할 수 있습니다.

 

채권의 경우 표면금리(발행금리)는 투자자가 실제로 투자하는 채권 매수 금리와 다를 수 있습니다.

 

(예)예를 들면 표면금리가 3%인 채권을 5%의 금리에 100만 원을 매수한 경우로 계산해 보겠습니다.

표면금리 3%에 해당하는 3만 원의 이자에먄 세금이 15.4% 부과되므로 4620원을 뺍니다.

그러나 투자자는 5%의 수익을 받게 되므로 세후수익은 100만 원의 5%인 5만 원에서 4620원을 뺀 45380원이 됩니다.

 

 

공식

채권의 세후 수익률 = 세전수익률 - 표면금리 *0.154

= 5% - (3%*0.154) = 4.538%

 

 

 

3. 은행예금 환산수익률

 

 

은행예금환산수익률은 어떤 채권에 투자했을 때의 수익률이, 몇 %의 예금에 투자했을 때와 (세후 기준으로) 같은 수익을 얻는 것인지를 보여주는 금리입니다.

은행예금 환산수익률은 은행환산금리, 예금환산금리 등과 같은 말입니다. 

 

(예) 앞서 든 사례처럼 3% 표면금리의 채권을 5%에 매수할 경우, 이 채권의 은행예금 환산수익률이 얼마인지 계산해 보겠습니다. 채권의 세후수익률과 같아지게 만드는 예금의 수익률을 계산해 보겠습니다. 

 

예금의 세후수익률 = 예금 세전수익률 * (1-0.154)

= 채권의 세후 수익률 = 채권 세전수익률 - 표면금리 *0.154

 

예금의 세전수익률을 A로 놓고 위의 식에 대입하여 방정식을 세우면

A * (1-0.154) = 4.538

A = 5.364...

 

따라서 위의 채권에서 얻는 세후수익률과 같은 4.538%를 얻기 위해서는 은행 예금의 세전수익률이 약 5.364%가 되어야 이 채권과 동일한 세후수익률을 거둘 수 있습니다.

이 채권의 은행예금 환산 수익률은 5.364% 입니다. 

 

 

 

4.  채권 만기 수익률 (Yield-to-Maturity)

 

 

채권의 만기수익률(YTM)이란, 채권이 만기될 때까지 발생하는 모든 수익을 연환산 복리수익률로 계산한 수익률입니다.

채권시장에서 사용되는 용어 중 만기수익률은 유통수익률, 시장수익률, 시장금리, 유통금리와 같은 뜻입니다. 

 

(예) 만기 5년, 표면이자율 10%인 채권을 100만원어치 구매했다면 5년간 채권에서 발생하는 총수익은 50만 원입니다.

그런데 5년 후 50만 원의 가치는 현재의 50만 원과 다를 것입니다.

그리고 시장이자율이 매년 바뀌기 때문에, 과연 만기에는 실질적으로 몇 %의 이익을 얻는 것과 같은지 계산해야 한 것이 만기수익률입니다. 

 

채권의 만기수익률을 계산하는 방법에 대해서는 다음 포스팅에서 더 자세하게 다루겠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