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채권을 나누는 기준은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여러 가지 채권을 분류하는 기준과, 그에 다른 채권의 종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채권의 통화에 따라
달러채권, 원화 채권 등
2. 채권의 신뢰도에 따라
우량채권, 하이일드채권(수익률이 높은 채권), 정크본드(쓰레기 채권이라는 뜻)
3. 채권의 발행 주체에 따른 분류
(1) 국채 : 정부에서 발행하는 채권
(2) 지방채 : 지방자치단체에서 발행하는 채권
(3) 공사채 : 공기업이 발행하는 채권
(4) 금융채 : 금융기관이 발행하는 채권
(5) 회사채 : 주식회사가 발행한느 채권
4. 신용등급에 따른 분류
A+등급 캐피탈채, BBB+등급 회사채 등
5. 잔존만기에 따른 분류
국채 2년물, 국채 10년물 등
분류기준 중 위의 3, 4, 5번이 가장 중요한 기준이며 시장참여자들은 이 3가지 기준으로 채권을 부르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A등급 회사채 1년짜리" , "우리 금융지주 5년물" 등으로 일반적으로 부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