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국채의 종류 중 국고채란 ? 국고채 지표물 수익률과 가격 알아보는 방법

by kellyeasy 2025. 3. 21.
반응형

 

국채란? 

 

지난 포스팅에서, 채권의 종류로는 국채, 지방채, 공사채, 금융채, 회사채의 5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고 하였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그중 국채, 국채 중에서도 국고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국채란, 국가가 발행하는 채권입니다.

  • 정부에서 공공의 목적 달성을 위해 자금이 필요할 때 국채를 발행하며, 국회의 동의를 얻어야지만 발행할 수 있습니다. 
  • 국채는 회사채나 금융채에 비해, 전체 채권 시장에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 나라가 망하지 않는 한 부도 위험이 없는, 안전한 채권으로 인식됩니다. 
  • 국채의 종류로는 국고채권, 재정증권, 국민주택채권, 외국환 평형기금 채권의 4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이 4가지로 분류하는 기준은 발행 목적에 따라서입니다.

 

국채의 종류 1. 국고채의 특징

 

"국고채권"을 줄여서 "국고채(國庫債 / National Treasury Bonds)"라고 합니다.

국채의 가장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 정부가 나라 살림을 하는데 필요한 돈은 대부분 세금이 주 수입원이지만, 세금으로 부족할 경우 채권을 발행하여 판매한 금액으로 재원을 충당하게 됩니다. (이렇게 세금 수입보다 정부의 지출이 많아 국고채권을 발행하는 상황을 "적자재정"이라고 하며 반대의 경우는 "흑자재정"이라고 합니다. 둘이 수지가 거의 맞을 때는 "균형재정"이라고 합니다. )
  • 국고채권은 만기가 3년, 5년, 10년, 20년, 30년, 50년 등 다양한 채권들이 있습니다.
  • 따라서 평소에 거래량과 거래 빈도가 높은 기관투자자들이 선호하는 채권입니다. 
  • 국고채들 중에서 "지표채권"으로 지정된 채권이 있는데, '국고채 10년물'입니다.  2013년부터 공식적으로 지정되었습니다. (이전에는 국고채 5년물이 지표채권이었습니다.) 채권시장을 대표하며 기준이 된다는 의미에서 "지표채권"이라고도 합니다.
  • 장기채권시장이 발달한 선진국들은 대부분 국고채 10년물을 재표채권으로 정하고 있습니다. 

 

cf. 지표란?

방향이나 목적, 기준 따위를 나타내는 표지를 말합니다.

 

그 외에 가장 최근에 발행되거나, 거래가 많은 특정 국채를'5년 지표물', '3년 지표물', '10년 지표물' 등으로 부르며, 이들 외 다른 모든 채권은 '경과물', 혹은 '비지표물'이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cf. 지표물이란? 

국채중에서 거래가 가장 활발하며, 대표가 되어 지표로 삼을 수 있는 채권을 지표물이라고 합니다. 

지표물은 유동성이 높아서 환금성도 높고, 따라서 비지표물보다 가격이 비싼 편입니다. 

또한 매수 호가와 매도 호가의 차이가 거의 없는 특징을 갖고 있습니다. 

 

 

각종 지표의 수익률을 알아보려면? 

 

지표채권수익률을 알아볼 수 있는 곳 : KRX 정보데이터 시스템

 

 

KRX정보데이터 시스템 홈페이지에서 전 채권 종목의 시세와 수익률을 알아볼 수 있습니다. 

종목을 보면 지표인지, 경과물인지 등도 알 수 있습니다. 

 

 

지표채권의 수익률과 시세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