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물가연동국채 : 절세효과와 물가상승 위험 헤지 효과가 있는 채권

by kellyeasy 2025. 3. 30.
반응형

 

 

국채 중에서는 물가와 연동되는 국채가 있는데, 이를 물가연동국채라 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물가 연동 국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물가연동국채란?

 

국민연금이 좋은 이유는, 물가가 오르면 그만큼 연동이 되어 받는 금액도 늘어나기 때문입니다. 물가가 오르게 되면 보유하고 있는 현금성 자산의 가치는 떨어지게 되기 때문입니다. 

채권 중에서도, 물가와 연동을 해서, 물가 상승으로 인한 손실을 보전해 주는 채권이 있는데, 채권의 원금 및 이자 지급액이 물가와 연동해서 바뀌게 됩니다. 

재정경제부가 매월 입찰을 통해 발행하는 국채가 이러한 채권입니다. 물가가 오를 수록 이자도 많이 받고 원금도 더 많이 받기 때문에 재테크에 유리한 점이 많습니다. 

 

 

 

물가연동국채 소개 및 장단점
물가연동국채 소개 및 장단점

 

 

 

물가와 연동시키는 방법 2가지

 

물가와 연동시키는 방법에는 2가지가 있습니다. 

 

1. 이자를 조정

 

"고정이자율 + 물가상승율"이라는 공식으로 이자를 정하여, 이자를 받을 때마다 인플레이션에 따라 이자가 조정되는 방법입니다. 

 

만약 고정이자율이 3%, 물가상승률이 3%라면 이자지급일에 6%의 이자를 받게 됩니다. 

 

 

2. 원금을 상향조정

 

원금을 물가상승률만큼 상향조정하여 정해진 이자율만큼을 지급하는 방법입니다. 

우리나라에서는 위의 이자를 조정하는 방법이 아니라 이 두 번째 방법을 사용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100만원을 3%의 물가연동국채에 투자했는데, 1년 후 물가가 4% 올랐다면, 원금은 100만 원의 4%인 104만 원으로 조정이 됩니다. 그래서 받는 이자는 104만 원의 3%인 31200원이 됩니다. 

 

 

물가연동국채의 장점

 

1. 물가상승 위험 헷지

 

인플레이션으로 인해 화폐가치가 많이 떨어질 경우 인플레이션에 대해 방어를 할 수 있습니다. 

채권으로 인해 받을 수 있는 원금과 이자가 많아지기 때문입니다. 

 

2. 세금 감면 효과

 

물가 상승률만큼 원금이 복리로 증가하지만, 그로 인한 수익에 대해서는 (현행 세법상) 세금을 부과하지 않기 때문에 이자소득세가 감면되는 효과가 있습니다. 

 

3. 시장금리 하락시 매매차익

 

매입 후에 시장 금리가 하락하게 되면 물가연동채권의 매매금리 수준도 하락하므로 채권가격이 상승하여, 채권을 팔 경우 매매차익을 얻을 수 있습니다. 

(금리와 채권 가격과의 관계는 나중에 포스팅하도록 하겠습니다.)

 

 

물가연동국채의 단점

 

만약 물가상승률이 낮아질 경우, 예상보다 이자소득이 낮아질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론상으로는 디플레이션이 발생할 경우 원금 손실의 위험성도 있습니다. 그러나 디플레이션이 자주 일어나지는 않습니다. 

 

 

물가연동국채를 매입하는 방법

 

증권사 HTS에서 매입가능합니다. 

혹은 정부에서 매월 정기적으로 입찰하므로 증권사나 국채전문 딜러를 통해 직접 입찰에 참여하여 매입할 수도 있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