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경기와 금리의 상관관계

by kellyeasy 2025. 8. 13.
반응형

 

채권 투자 수익률에는 금리의 변화가 중요한 역할을 하므로, 금리의 변화를 예의 주시해야 합니다. 

금리는 각종 경제적인 변수들에 의해 영향을 받는데, 그중에서도 경기, 물가, 정부의 재정정책, 중앙은행의 통화정책의 4가지의 영향을 가장 직접적으로 받게 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경기와 시중 금리와의 상관관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금리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 : 경기

 

경기의 향방은 금리에 많은 영향을 미칩니다. 

경기가 좋아지면 소득이 늘어나 수요가 증가하고, 돈을 빌려 사업을 시작하는 사람들이 많아지며, 설비투자는 확대됩니다. 

이렇게 돈의 수요가 많아지므로 시중금리는 상승하게 됩니다. 

 

반대로, 경기가 나빠지면 돈을 빌려 투자하려는 사람들이 줄어들므로 돈의 수요가 감소하니 시중금리는 하락하게 됩니다. 

 

▶ 시장의 예상치보다 경기가 더 좋아지는 방향으로 경제지표가 발표되면 그날의 채권시장은 금리가 상승하는 방향으로 움직이려는 경향을 보일 것입니다. >> 채권가격 하락

경기가 안 좋아지는 방향의 경제지표가 발표되면 금리는 하락하는 방향으로 움직이려 할 것입니다. >> 채권가격 상승

 

▶ 그렇다면, 경제지표란 무엇일까요?

 

 

 

경기를 알려주는 통계지수 : 경제 지표

 

경제지표란, 경기를 반영해서 정기적으로 발표하는 주요한 통계지수를 말합니다. 

대표적인 경제지표로는  GDP와 경기종합지수가 있습니다. 

 

 

경제지표 1. GDP : Gross Domestic Product (국내총생산)

 

일정 기간 동안 한 나라에서 생산되어 거래된 모든 재화와 서비스의 교환가치의 합계를  GDP라고 합니다 

분기별로 발표합니다.

 

 

경제지표 2. 경기종합지수

 

 

경기종합지수란, 경제의 각 부문을 대표하는 경제지표들을 가공하고 종합해서 하나의 지표로 나타낸 것입니다. 

 

1. 선행지수

 

미래의 경기 동향을 예측하는 지표입니다.

소비자기대지수, 기계수주 등 경기 순환에 앞서서 나타나는 10개 지표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2. 동행지수

 

현재의 경기 상황을 파악하는데 사용되는 지표입니다.

광공업 생산, 제조업 가동률 등 실제 경기와 같은 시점에서 움직이는 8개 지표로 구성됩니다. 

 

 

3. 후행지수

 

과거의 경기 동향을 파악하는 데 사용되는 지표입니다. 

재고, 소비지출 등 경기 순환이 지난 뒤에 나타나는 5개의 지표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경제지표 3. 그 외의 경제지표들

 

실업률, BSI(기업 경기 실사 지수), CSI(소비자 전망지수) 등이 있습니다.

경제지표는 대부분 통계청이나 한국은행의 인터넷 홈페이지에서 찾을 수 있습니다. 

 

실업률 그래프 (한국은행)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