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채권의 듀레이션이 중요한 이유, 엑셀 duration 함수

by kellyeasy 2025. 8. 2.
반응형

 

지난 포스팅에서는 채권의 듀레이션이 무엇인지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듀레이션에 대해 궁금하신 분은 아래의 포스팅을 참고하세요)

 

https://kelly7.com/79

 

채권 투자에서 듀레이션이란? (평균만기와 잔존만기 차이점)

채권의 두 가지 만기 : 잔존만기 vs 평균만기 채권에는 만기가 있습니다. 잔존만기란, 채권의 만기까지 실제적으로 남은 기간을 말합니다. 오늘이 25년 1월 1일이고 27년 12월 31일이 만기면 잔존만

kelly7.com

 

 

이번 포스팅에서는 채권의 듀레이션이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듀레이션(평균 만기)를 알아야 하는 이유

 

 

시장의 변동성 때문에 듀레이션을 알아야 합니다. 

금리는 자주 변하며, 그럴 때마다 채권의 가격도 변하게 되는데, 채권의 가격이 어느 정도나 변하게 될지는 듀레이션의 개념을 알고 있어야 대략적인 예측이 가능하기 때문입니다. 

 

 

듀레이션으로 투자를 검토하는 방법

 

 

예를 들어 듀레이션(평균 만기)가 3년인 채권을 보유하고 있는데, 금리가 0.2% 상승한다면, 3년간 0.2%씩 손해보게 되므로

3년 * 0.2% = 0.6% 로, 채권 가격이 0.6% 하락할 것을 예상할 수 있습니다. 

 

 

엑셀로 듀레이션을 계산하는 방법

 

 

=DURATION(채권 결제한 날 , 채권 만기일, 채권의 연간 액면 이자율, 시장 이자율, 연간 이자 지급 회수)

를 입력하면 됩니다. 

 

  • 2025년 8월 1일 구매, 2028년 8월 1일 만기, 연간 이자율 5%, 시장이자율 4%, 연 1회 이자 지급 

이 조건으로 계산해 보겠습니다. 

엑셀 수식창에

 

엑셀수식

=DURATION(2025-8-1, 2028-8-1, 0.05, 0.06, 1)

 

을 넣어 계산해주면 0.008333 이라는 결과가 나옵니다. %로 바꾸면 0.83% 입니다. 

 

금리가 1% 변할 때 채권 가격이 약 0.83% 변동한다는 의미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