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3가지 물가 지수 : 소비자물가지수, 생산자물가지수, 수출입물가지수

by kellyeasy 2025. 8. 23.
반응형

 

 

물가가 시장 금리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채권 시장과 주식시장에 끼치는 영향은 어떠한지,

그리고 물가지수의 3가지에는 어떤 것이 있는지 알아보겠습니다. 

 

 

3가지 물가지수

 

 

 

물가는 종합적인 가격 수준이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시장에서 거래되는 모든 상품과 서비스의 가격을 중요도에 따라서 평균을 낸(가중평균) 종합적인 수준을 물가라 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물가의 움직임을 한눈에 알아볼 수 있도록 지수화한 것이 물가지수입니다.

 

1. 소비자 물가지수

 

소비자 물가지수는 CPI라고도 하며(Consumer Price Index) 생계비의 개념입니다. 

일상 소비생활에 필요한 재화와 용역을 구입하기 위해 지불하는 가격의 변동을 측정해 줍니다. 

 

이 지수는 한국은행이 통화정책을 결정하는데 반영하는 직접적인 요소이므로 금리시장에 큰 영향을 미칩니다. 

 

 

2. 생산자 물가지수

 

국내생산자가 국내시장에 공급하는 상품 및 서비스의 가격 변동을 종합한 지수입니다. 

소비자물가지수가 소비자의 구매력을 알아보는 지수인 반면, 생산자물가지수는 기업의 비용(생산 원가)과 관련 있는 지수입니다. 

한국은행에서 매월 작성해서 공표하고 있습니다. 

 

소비자물가지수에 비해 금리시장에 미치는 영향력은 작은 편이지만, 소비자물가지수에 영향을 미치는 지수이므로 전문투자자들이 유념해 보는 지수이기도 합니다. 

 

 

 

수출물가지수(=수출가격지수) 그래프

 

 

3. 수출입물가지수

 

수입물가지수는 수입상품의 가격변동을 측정하는 지표입니다. 

수출물가지수는 수출상품의 가격변동을 측정하는 지표입니다. 

 

생산자물가지수와 마찬가지로, 금리시장에 미치는 영향력은 적으나 우리나라는 대외의존도가 높기 때문에 수출입상품의 가격변동은 국내물가나 대외 경쟁력, 생산활동 등에 영향을 주고 있습니다. 

 

 

 

물가와 금리와의 관계

 

 

물가가 크게 오를 것으로 예상되면 많은 사람들은 부동산 등의 실물 자산을 생산하거나 매입하려고 하고, 이는 돈에 대한 수요 증가로 이어지게 됩니다. 따라서 시중 금리는 오르게 됩니다. 

 

물가가 크게 오르지 않을 것으로 예상 된다면, 반대로 돈에 대한 수요가 크게 증가하지 않아 시중 금리는 안정될 것입니다. 

 

한국은행은 물가 안정을 최우선 목표로 하고 있기 때문에, 물가가 오를 경우 기준 금리를 올려서 시중 자금을 흡수합니다. 

이렇게 되면 돈의 공급이 줄어서 시장금리를 상승시키는 주요 원인이 됩니다. 

 

 

 

물가지수가 채권, 주식 시장에 미치는 영향

 

 

채권시장에 끼치는 영향은 직접적이지만, 주식시장에 끼치는 영향은 간접적인 편입니다. 

 

물가상승으로,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높이는 긴축 정책을 펼 것으로 예상이 된다면 어떻게 될까요?

단기적으로는 주가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게 될 것입니다. 

하지만 장기적으로 보면, 물가 상승은 기업이 보유한 자산가격이 올라가고, 기업이 만들어내는 이익이 상승되기 때문에 결과적으로 주가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분석이 많습니다. 

 

그러므로 주식을 갖고 있는 것은, 인플레이션을 헤지 하는 수단의 하나로 인식되고 있습니다. 

 

금리의 변화가 채권에 미치는 영향은 아래의 포스팅을 참고하세요~

 

https://kelly7.com/78

 

채권 금리가 상승하면 채권 가격이 하락하는 이유

채권은 정기예금처럼 이자를 정기적으로 받을 수 있고 만기 시 원금을 받게 됩니다. 우선, 익숙한 정기예금으로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 사례 1. 금리 상승의 경우 만약 여러분이 100만 원을 가지

kelly7.com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