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금리3

채권 금리가 상승하면 채권 가격이 하락하는 이유 채권은 정기예금처럼 이자를 정기적으로 받을 수 있고 만기 시 원금을 받게 됩니다. 우선, 익숙한 정기예금으로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 사례 1. 금리 상승의 경우 만약 여러분이 100만 원을 가지고 있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5% 이자를 받는 정기예금에 가입하면 1년 후에는 105만 원이 될 것을 기대할 것입니다. 그런데 다음날 은행에서 연 6%의 정기예금을 판매한다면 어떻게 될까요?(현실적으로는, 어제 가입한 정기예금을 해지하고 6%의 정기예금에 재가입을 하면 되겠지만요~) 산술적으로 계산하면 1년 후에는 106만 원이 될 것이니, 어제 가입한 여러분은 1만 원의 손해를 보게 될 것입니다. 즉 금리상승분인 1%만큼, (100만 원의 1%만큼) 손해를 보게 될 것입니다. 투자원금 × 금리변동.. 2025. 6. 19.
채권시가 평가기준 수익률표(채권의 금리는 어떻게 정하나?) 채권의 금리는 어떻게 정할 수 있을까요?마음대로 정해지는 걸까요? 시장에서, 내가 투자하려는 채권이 어느 정도에 유통되고 있는지를 알면, 적정 금리에 적정 가격으로 유통되고 있는지를 알 수 있을 것입니다. 채권시정에서는 적정한 공정가격이 제공되고 있으며, 이를 표로 나타낸 것을 "조견표"라고 합니다. 조견표 (채권시가평가기준 수익률표) 보는 방법 채권의 금리는 아래의 3가지 기준으로 구분됩니다. 신용등급(AAA, BBB 등)잔존만기 (3년물, 1년물)발행자의 종류(국채, 회사채 등) 이 기준에 따라 각 채권평가사들은 시가평가표를 제공하며, 금융투자협회에서 게시하고 있습니다. 금융투자협회 채권정보센터 바로가기 금융투자협회 채권정보센터 www.kofiabond.or.kr 보는 방법은 아래와 같.. 2025. 6. 15.
금리 인상 단계별 (스텝) 용어 : 마이크로, 베이비, 빅, 자이언트, 점보 스텝이란? 경제 뉴스를 접하다 보면 "자이언트 스텝: 이라던가 "마이크로 스텝"이라는 표현을 종종 듣게 됩니다. 이는 기존의 금리에서 얼마만큼의 변화가 있었는지를 나타내는 용어들입니다.    세계 각국의 중앙은행은 기준금리를 결정해서 발표합니다. 이 때, 현재의 금리에 비해 어느 정도나 금리가 조정되는지 그 폭을 나타낼 때 사용됩니다.  폭이 작은 순서대로, "마이크로 스텝"은 0.1%~0.15% 의 조정이 있을 때 쓰는 용어이고, "베이비 스텝"은 0.25%의 조정, 빅스텝은 2배인 0.5% 조정, 자이언트 스텝은 0.75% 조정, 점보스텝은 1%의 금리를 조정할 때 사용됩니다.  (예)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3%에서 3.1%로 상향했다면 "마이크로 스텝"이 있었다고 표현합니다.   용어금리 변동 폭마이크로 스텝.. 2025. 2. 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