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회사채3

여러 가지 종류의 회사채에 대해 : ABS, MBS 기업은 다양한 형태의 회사채를 발행합니다. 지난 포스팅에서는 CB, BW, EB (전환사채, 신주인수권부사채, 교환사채) 및 CP, 전자단기사채, 보증채와 무보증채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ABS와 MBS가 무엇인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ABS ( Asset Backed Securities) : 재산 담보부 채권 1. ABS의 정의 Asset Backed Securities를 번역하자면 '자산이 뒤에서 받쳐주는 증권'이라 할 수 있겠습니다.즉, ABS는 자산을 담보로 발행하는 채권입니다.기업이 자산을 특수 목적 회사 (SPC 라고 함)에 매각하면 그 SPC는 매입한 자산을 담보로 ABS채권을 발행합니다. 2. ABS의 담보 ABS의 담보가 되는 기초 자산은 부동산도 있지만 .. 2025. 5. 4.
여러 가지 회사채에 대해 : CP, 전자단기사채, 보증채, 무보증채 이번 포스팅에서는 주식회사가 발행하는 여러 가지 유형의 채권들 중 CP, 전자단기사채, 보증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단기자금 조달을 위한 회사채 : CP, 전자단기사채 기업은 주로 2~3년 이상 사용할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회사채를 발행하지만 때로는 1년(대부분 3개월) 이하의 단기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발행할 때도 있습니다. 이렇게 단기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발행하는 회사채에는 CP와 전자단기사채가 있습니다. 1. CP(Commercial Bond : 기업어음) 차용증의 형식을 한 실물 증권입니다. 2. 전자단기사채(Short Term Bond : 전단체) CP처럼 실물 증권이 있는 것이 아니라 예탁원에서 전산으로 관리된다는 점에서 CP와 차이가 있습니다. 3. CP와 전단체의 신용등.. 2025. 4. 22.
회사채란 ? 전환사채, 교환사채, 신주인수권부사채 (CB, EB, BW) 란? 채권을 발행주체별로 분류하면 크게 국채, 지방채, 공사채, 금융채, 회사채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회사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회사채란? 1. 회사채를 발행하는 이유 주식회사가 자금을 조달하는 방법으로는 주식을 발행하거나 채권을 발행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이 중에서 주식을 추가로 발행한다면 기존 주주들에게 자금적으로 부담이 될 수 있고, 만약 제 3자에게 주식을 교부한다면 기존 주주들의 주식 하나당 이익(EPS: earning per share)이 감소해 투자수익이 감소한다는 부작용이 있습니다. 그러므로 기업은 채권을 발행하거나 은행으로부터 대출을 받아서 자금을 도달하게 됩니다.기업 입장에서는 회사채를 발행하는 것이 은행 대출보다 유리한데, 대출의 경우 1~2년 후 상환을 해야 .. 2025. 4. 2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