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채권의 18단계 신용등급, 4가지 신용평가 기관에 대해

by kellyeasy 2025. 4. 22.
반응형

 

 

개인이 대출을 받을 때 신용등급을 따지고 국가에도 신용등급이 있듯이, 채권에도 신용등급이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채권의 계급이라고 할 수 있는 신용등급에 대해 알아보고, 신용등급의 각 단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채권의 신용등급이란?

 

 

발행주체에 따른 채권의 종류 5가지로는 국채, 지방채, 공사채, 금융채, 회사채가 있습니다. 

 

이 중에서 국채와 지방채는 신용위험이 없다고 간주되므로 신용등급을 부여하지 않습니다. 

공사채, 금융채, 회사채에만 신용등급을 부여하는데, 발행 주체가 부도날 위험성을 판단하는 등급이며 원리금을 잘 갚을 수 있는지에 대한 등급이라고도 할 수 있겠습니다. 

 

 

 

국내 신용평가기관 4군데

 

 

자본시장법에서는 채권을 발행하려면 최소 2곳 이상의 신용평가기관에서, 발행할 채권의 신용등급을 받도록 정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국내 용평가기관들로는 <한국기업평가>, <한국신용평가>, <NICE신용평가>, <서울신용평가(CP, 전단채 등 단기채권 평가만 가능)> 의 4기관이 허가되어 있습니다. 

 

채권투자를 하려는 사람이라면 해당 기관에서 작성한 신용보고서를 확인하여 채권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확인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채권의 신용등급

 

 

국내 3대 신용평가기관중 하나인 <한국기업평가> 홈페이지에서 가져온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신용등급

 

 

  • 최고등급인 AAA부터 최하 등급인 D까지로 나뉩니다.
  • 이중 AA, A, BBB, BB, 까지의 4가지 등급은 각 단계 내에서 +, 0, - 의 3등급으로 나뉘기 때문에 결국 총 등급은 18가지로 분류하게 됩니다. (AAA / AA+ / AA0 / AA- / A+ / A0 / A- / BBB+ / BBB0 / BBB- / BB+ / BB0 / BB- / B / CCC / CC / C / D 순서)
  • BBB등급 이상의 채권을 투자등급 채권이라 하고, 그 미만은 투기등급채권이라 합니다. 
  • 공사채는 대부분 국각가 보증을 해주므로 AAA등급을 획득합니다. 
  • 지방공사채는 AA이하 등급도 많습니다. 
  • 금융채중 시중은행채는 주로 AAA등급을 받으나 카드사나 캐피털사가 발행한 기타 금융채는 AA와 A등급도 많습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