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전체 글74 채권의 듀레이션이 중요한 이유, 엑셀 duration 함수 지난 포스팅에서는 채권의 듀레이션이 무엇인지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듀레이션에 대해 궁금하신 분은 아래의 포스팅을 참고하세요) https://kelly7.com/79 채권 투자에서 듀레이션이란? (평균만기와 잔존만기 차이점)채권의 두 가지 만기 : 잔존만기 vs 평균만기 채권에는 만기가 있습니다. 잔존만기란, 채권의 만기까지 실제적으로 남은 기간을 말합니다. 오늘이 25년 1월 1일이고 27년 12월 31일이 만기면 잔존만kelly7.com 이번 포스팅에서는 채권의 듀레이션이 어떻게 활용되고 있는지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듀레이션(평균 만기)를 알아야 하는 이유 시장의 변동성 때문에 듀레이션을 알아야 합니다. 금리는 자주 변하며, 그럴 때마다 채권의 가격도 변하게 되는데, 채권의 가격이 어느 .. 2025. 8. 2. 채권 투자에서 듀레이션이란? (평균만기와 잔존만기 차이점) 채권의 두 가지 만기 : 잔존만기 vs 평균만기 채권에는 만기가 있습니다. 잔존만기란, 채권의 만기까지 실제적으로 남은 기간을 말합니다. 오늘이 25년 1월 1일이고 27년 12월 31일이 만기면 잔존만기는 3년입니다. 하지만 채권 가격을 계산할 때 사용하는 만기는 "잔존만기"가 아니라 "평균만기"라는 개념을 사용합니다. 영어로는 duration(지속 기간)이라는 표현을 사용하며, 한국어로도 평균만기라는 표현 대신 듀레이션이라고 쓰는 경우가 많습니다. 평균만기의 개념과 계산 1. 시중 금리가 변화 없을 때 : 단순 평균을 구해도 된다. 만약 1만원의 채권에 투자하면 1년 후 1000원, 2년 후 1000원, 3년 후 1000원을 지급해 주는 채권이 있다고 하겠습니다. 이 채권의 만기는 3년 후지.. 2025. 6. 30. 채권 금리가 상승하면 채권 가격이 하락하는 이유 채권은 정기예금처럼 이자를 정기적으로 받을 수 있고 만기 시 원금을 받게 됩니다. 우선, 익숙한 정기예금으로 예를 들어보겠습니다 . 사례 1. 금리 상승의 경우 만약 여러분이 100만 원을 가지고 있다고 가정해 보겠습니다. 5% 이자를 받는 정기예금에 가입하면 1년 후에는 105만 원이 될 것을 기대할 것입니다. 그런데 다음날 은행에서 연 6%의 정기예금을 판매한다면 어떻게 될까요?(현실적으로는, 어제 가입한 정기예금을 해지하고 6%의 정기예금에 재가입을 하면 되겠지만요~) 산술적으로 계산하면 1년 후에는 106만 원이 될 것이니, 어제 가입한 여러분은 1만 원의 손해를 보게 될 것입니다. 즉 금리상승분인 1%만큼, (100만 원의 1%만큼) 손해를 보게 될 것입니다. 투자원금 × 금리변동.. 2025. 6. 19. 채권시가 평가기준 수익률표(채권의 금리는 어떻게 정하나?) 채권의 금리는 어떻게 정할 수 있을까요?마음대로 정해지는 걸까요? 시장에서, 내가 투자하려는 채권이 어느 정도에 유통되고 있는지를 알면, 적정 금리에 적정 가격으로 유통되고 있는지를 알 수 있을 것입니다. 채권시정에서는 적정한 공정가격이 제공되고 있으며, 이를 표로 나타낸 것을 "조견표"라고 합니다. 조견표 (채권시가평가기준 수익률표) 보는 방법 채권의 금리는 아래의 3가지 기준으로 구분됩니다. 신용등급(AAA, BBB 등)잔존만기 (3년물, 1년물)발행자의 종류(국채, 회사채 등) 이 기준에 따라 각 채권평가사들은 시가평가표를 제공하며, 금융투자협회에서 게시하고 있습니다. 금융투자협회 채권정보센터 바로가기 금융투자협회 채권정보센터 www.kofiabond.or.kr 보는 방법은 아래와 같.. 2025. 6. 15. 이전 1 2 3 4 5 ··· 19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