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69

리츠 구매시 체크할 사항 part2 : 운용수익, 순자산가치, 배당매력 지난번 포스팅에서는, 리츠에 투자할 때 체크해야 할 사항 6가지 중 3가지 - 투자대상, 임차인의 건전성, 부동산의 가치 - 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이번 포스팅에 대해서는 또 다른 3가지인 운용수익, 순자산가치, 배당매력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운용수익 (FFO : Fund From Operation) (1) FFO의 의미와 계산식 FFO는 "Fund From Operation(운용)"의 약자로 운용수익을 뜻합니다. 기업으로 치면 순이익과 비슷한 개념입니다.FFO를 계산하는 계산식은 아래와 같습니다. FFO = 순이익 + (유무형자산) 감가상각비 - 자산매각을 통한 이익 리츠의 이익으로는 자산을 매각한 이익도 포함한 순이익이 있겠지만, 리츠를 평가할 때는 순이익에서 자산 매각을 통해 얻은 이익은 .. 2024. 8. 26.
대표적 고배당주 리츠 : 투자 전 확인해야 할 3가지 (투자대상, 임차인의 건전성, 부동산 가치) 배당주 가운데 유명한 상품 종류로 "리츠"가 있습니다. 리츠는 배당가능 이익의 90% 이상을 배당해야 하는 의무가 있기 때문에 배당금이 많습니다. 이 포스팅에서는 리츠의 기본 개념에 대해 알아보고, 리츠 투자 시 확인해야 하는 6가지 정보 중 3가지(투자대상, 임차인의 건전성, 부동산의 가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리츠의 기본 개념 (1) 리츠란? (REITs : Real Estate Investment Trusts) 리츠는 Real Estate Investment Trusts 의 약자인 REITs를 일컫는 말로써, 투자자의 자금을 모아 부동산에 투자하고 얻은 수익을 다시 투자자들에게 돌려주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목적을 가진 특수목적회사, 혹은 투자신탁을 말합니다.   (2) 리츠의 이익구조 개인.. 2024. 8. 25.
미국배당주 투자와 한국 배당주 투자의 차이점 "배당주 투자"하면 미국 증시를 떠올리는 사람들이 많을 것입니다. 그만큼 미국 증시는 배당을 많이 해주는 것으로 널리 잘 알려져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미국 배당주의 특징에 대해 알아보고 한국의 배당주들과는 어떤 차이점이 있는지, 배당하는 스타일과 배당금 지급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1. 미국 주식 - 배당의 원조 미국시장은 배당을 통한 주주환원의 원조라고 가히 말할 수 있습니다.미국시장은 성장성이 높은 기업의 경우 배당이 적더라도 계속해서 투자금을 마련해 주지만, (예 : 구글, alphabet) 성장이 둔화되고 성숙기에 접어든 기업에게는 주주들에게 이익을 환원해 줄 것을 강력히 요구합니다.순이익 가운데서 주주에게 환원하는데 지출한 규모를 나타내는 비율을 "총 주주환원 비율"이라고 하는데, .. 2024. 8. 9.
배당주의 5가지 유형 배당금을 지급하는 기업일지라도, 기업마다 배당에 대해 다른 정책을 갖고 있습니다. 이 포스팅에서는, 서로 다른, 기업들의 배당정책 유형에 대해 알아보고, 어떤 유형의 배당주에 투자하는 것이 좋을지 알아보겠습니다.   1. 매년 같은 배당금을 지급하는 기업 (1) 기업의 특징 매년 동일한 금액의 배당금을 지급하는 기업들이 있습니다. 이런 기업들은 영업 이익이 잘 나오건 못 나오건 주주들에게 한결같이 동일한 배당금을 지급합니다.만약 영업손실을 대규모로 봤다거나, 실적이 지속적으로 부진한 기업이라면 이러한 배당정책을 유지하기 힘들 것입니다.▶ 따라서 최소 5년간 동일한 배당금을 지급한 기업의 경우, 실적에 대한 안정성이 어느 정도 확인된 기업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이처럼, 매년 동일한 배당금을 지급하는 업체.. 2024. 8. 5.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