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65

배당금 얼마인지 확인할 수 있는 사이트 : 전자공시시스템, 다음금융, 네이버금융 배당주에 투자하려면, 특정 기업이 과거에는 어느 정도의 배당을 했으며, 배당수익률은 어느 정도가 되는지 궁금할 것입니다. 이포스팅에서는 배당정보를 확인할 수 있는 여러 가지 경로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전자공시사이트 전자공시사이트인 DART에서 확인가능합니다.상장기업들의 배당소식이 가장 먼저 올라오는 곳은 전자공시사이트입니다. (1) 상장기업들의 공시현황을 시간순서로 확인하려면    전자공지시스템에 접속한 후 - 를 누르면, 상장기업들의 공시현황을 시간순으로 볼 수 있습니다.     상단에서 날짜를 선택할 수도 있습니다.이사회에서 배당을 결의하면 기업은 한국거래소에 공시 서류를 제출해야 하는데, 그때 서류의 제목은 (주식으로 배당할 경우는 )>이 됩니다. 따라서 보고서명을 "내림차순"으로 정렬시키.. 2024. 8. 4.
배당주 투자 기초 상식 : 배당락, 배당기준일 등 (언제 주식을 매수해야 배당을 받을 수 있나? 배당주들을 잘 투자하면 매월 배당금을 월세처럼 받을 수 있다는 말이 있습니다. 미국 주식의 경우 배당금을 매월 주는 기업들도 있지만 한국의 경우는 대부분이 1년에 1번 배당을 하거나 분기배당을 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언제까지 주식을 매수해야 배당을 받을 수 있는지, 배당락과 배당지급일 등 배당관련 일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배당기준일이란? 주주가 배당을 받을 수 있는 권리를 인정받을 수 있는 기준이 되는 날을 말합니다. 만약 배당기준일이 12월 31일이라면, 12월 31일에는 내 명의로 주식을 갖고 있어야 한다는 말입니다.  (1) 12월 결산법인의 예 12월 결산법인의 경우, 기말 배당기준일은 12월 31일입니다. 그렇다면 12월 31일에 주식을 사면 배당을 받을 수 있을까요? 그렇지 않습.. 2024. 8. 3.
배당주 관련 용어 : 배당성향, 배당수익률, 배당총액, DPS, 시가배당률, 스튜어드십 코드 요점은 "배당주 투자"에 대한 관심이 많은 것 같습니다.  "배당"이란, 주식회사의 이익금의 일부를, 주주에게 나누어주는 일을 말합니다. 특히 "배당주"란, 꾸준히 배당을 지급하는 회사의 주식을 말합니다. 배당은 단순히 기업이 흑자를 낸다는 이유만으로 할 수 있는 것이 아닙니다. 영업활동으로 벌어들인 이익이 충분히 회사 안에 쌓여 있어야 가능한 것입니다. 따라서 꾸준히 배당을 지급하는 배당주에 투자하면 위험한 기업을 걸러낼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이 포스팅에서는 배당주에 대한 기초상식을 쌓기 위해 기본 용어들을 알아보겠습니다. 우선, 배당주와 관련된 용어를 알아보고, 한국의 대표적인 배당지수 2가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배당주와 관련된 기본 용어 (1) 배당성향 기업이 남긴 순이익에서 얼.. 2024. 8. 2.
재혼을 해도 예전 배우자의 유족연금을 받을 수 있을까? 민액 닝,; 배우자가 사망하여 재혼을 했을 경우, 내가 사망하면 재혼한 배우자는 나의 을 받을 수 있을까요?연금의 재원에 따라 다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 과 , , 의 경우 각각 어떻게 되는지 알아보겠습니다.    1. 국민연금 에서는, 재혼 시기가 언제인지와는 상관없이, 사망 당시 혼인 상태에 있으면 유족으로 간주합니다.따라서 은 사망자의 배우자에게 지급되고(사실혼도 배우자로 간주합니다.) 배우자가 없으면 자녀, 부모 순으로 지급됩니다.  2. 공무원연금, 사학연금 과 은 수령방식이 같습니다. 이 두 연금이 과 공통점이 있다면. "가입자가 사망할 당시 사실혼을 포함한 혼인 상태를 유지해야"한다는 점입니다. 차이점이 있는데 그 중 하나는 "혼인 시기"입니다. 공무원으로 재직할 당시 결혼한 배우자만 .. 2024. 7. 2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