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54

물가연동국채 : 절세효과와 물가상승 위험 헤지 효과가 있는 채권 국채 중에서는 물가와 연동되는 국채가 있는데, 이를 물가연동국채라 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물가 연동 국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물가연동국채란? 국민연금이 좋은 이유는, 물가가 오르면 그만큼 연동이 되어 받는 금액도 늘어나기 때문입니다. 물가가 오르게 되면 보유하고 있는 현금성 자산의 가치는 떨어지게 되기 때문입니다. 채권 중에서도, 물가와 연동을 해서, 물가 상승으로 인한 손실을 보전해 주는 채권이 있는데, 채권의 원금 및 이자 지급액이 물가와 연동해서 바뀌게 됩니다. 재정경제부가 매월 입찰을 통해 발행하는 국채가 이러한 채권입니다. 물가가 오를 수록 이자도 많이 받고 원금도 더 많이 받기 때문에 재테크에 유리한 점이 많습니다.       물가와 연동시키는 방법 2가지 물가와 연동시키는 방법에는 .. 2025. 3. 30.
국채의 종류 중 국고채란 ? 국고채 지표물 수익률과 가격 알아보는 방법 국채란?  지난 포스팅에서, 채권의 종류로는 국채, 지방채, 공사채, 금융채, 회사채의 5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고 하였습니다.이번 포스팅에서는 그중 국채, 국채 중에서도 국고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국채란, 국가가 발행하는 채권입니다.정부에서 공공의 목적 달성을 위해 자금이 필요할 때 국채를 발행하며, 국회의 동의를 얻어야지만 발행할 수 있습니다. 국채는 회사채나 금융채에 비해, 전체 채권 시장에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습니다. 나라가 망하지 않는 한 부도 위험이 없는, 안전한 채권으로 인식됩니다. 국채의 종류로는 국고채권, 재정증권, 국민주택채권, 외국환 평형기금 채권의 4가지로 나눌 수 있습니다. 이 4가지로 분류하는 기준은 발행 목적에 따라서입니다. 국채의 종류 1. 국고채의 특징 "국고채.. 2025. 3. 21.
채권의 분류 : 발행주체 / 신용등급 / 잔존만기에 따른 분류 채권을 나누는 기준은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여러 가지 채권을 분류하는 기준과, 그에 다른 채권의 종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1. 채권의 통화에 따라 달러채권, 원화 채권 등  2. 채권의 신뢰도에 따라 우량채권, 하이일드채권(수익률이 높은 채권), 정크본드(쓰레기 채권이라는 뜻)  3. 채권의 발행 주체에 따른 분류 (1) 국채 : 정부에서 발행하는 채권 (2) 지방채 : 지방자치단체에서 발행하는 채권 (3) 공사채 : 공기업이 발행하는 채권 (4) 금융채 : 금융기관이 발행하는 채권 (5) 회사채 : 주식회사가 발행한느 채권  4. 신용등급에 따른 분류 A+등급 캐피탈채, BBB+등급 회사채 등  5. 잔존만기에 따른 분류 국채 2년물, 국채 10년물 등     분류기준 중 위의.. 2025. 3. 11.
금리 인상 단계별 (스텝) 용어 : 마이크로, 베이비, 빅, 자이언트, 점보 스텝이란? 경제 뉴스를 접하다 보면 "자이언트 스텝: 이라던가 "마이크로 스텝"이라는 표현을 종종 듣게 됩니다. 이는 기존의 금리에서 얼마만큼의 변화가 있었는지를 나타내는 용어들입니다.    세계 각국의 중앙은행은 기준금리를 결정해서 발표합니다. 이 때, 현재의 금리에 비해 어느 정도나 금리가 조정되는지 그 폭을 나타낼 때 사용됩니다.  폭이 작은 순서대로, "마이크로 스텝"은 0.1%~0.15% 의 조정이 있을 때 쓰는 용어이고, "베이비 스텝"은 0.25%의 조정, 빅스텝은 2배인 0.5% 조정, 자이언트 스텝은 0.75% 조정, 점보스텝은 1%의 금리를 조정할 때 사용됩니다.  (예)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3%에서 3.1%로 상향했다면 "마이크로 스텝"이 있었다고 표현합니다.   용어금리 변동 폭마이크로 스텝.. 2025. 2. 7.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