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65

채권의 18단계 신용등급, 4가지 신용평가 기관에 대해 개인이 대출을 받을 때 신용등급을 따지고 국가에도 신용등급이 있듯이, 채권에도 신용등급이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채권의 계급이라고 할 수 있는 신용등급에 대해 알아보고, 신용등급의 각 단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채권의 신용등급이란? 발행주체에 따른 채권의 종류 5가지로는 국채, 지방채, 공사채, 금융채, 회사채가 있습니다. 이 중에서 국채와 지방채는 신용위험이 없다고 간주되므로 신용등급을 부여하지 않습니다. 공사채, 금융채, 회사채에만 신용등급을 부여하는데, 발행 주체가 부도날 위험성을 판단하는 등급이며 원리금을 잘 갚을 수 있는지에 대한 등급이라고도 할 수 있겠습니다. 국내 신용평가기관 4군데 자본시장법에서는 채권을 발행하려면 최소 2곳 이상의 신용평가기관에서, 발행할 채권의 신용등.. 2025. 4. 22.
여러 가지 회사채에 대해 : CP, 전자단기사채, 보증채, 무보증채 이번 포스팅에서는 주식회사가 발행하는 여러 가지 유형의 채권들 중 CP, 전자단기사채, 보증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단기자금 조달을 위한 회사채 : CP, 전자단기사채 기업은 주로 2~3년 이상 사용할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회사채를 발행하지만 때로는 1년(대부분 3개월) 이하의 단기 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발행할 때도 있습니다. 이렇게 단기자금을 조달하기 위해 발행하는 회사채에는 CP와 전자단기사채가 있습니다. 1. CP(Commercial Bond : 기업어음) 차용증의 형식을 한 실물 증권입니다. 2. 전자단기사채(Short Term Bond : 전단체) CP처럼 실물 증권이 있는 것이 아니라 예탁원에서 전산으로 관리된다는 점에서 CP와 차이가 있습니다. 3. CP와 전단체의 신용등.. 2025. 4. 22.
회사채란 ? 전환사채, 교환사채, 신주인수권부사채 (CB, EB, BW) 란? 채권을 발행주체별로 분류하면 크게 국채, 지방채, 공사채, 금융채, 회사채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회사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회사채란? 1. 회사채를 발행하는 이유 주식회사가 자금을 조달하는 방법으로는 주식을 발행하거나 채권을 발행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이 중에서 주식을 추가로 발행한다면 기존 주주들에게 자금적으로 부담이 될 수 있고, 만약 제 3자에게 주식을 교부한다면 기존 주주들의 주식 하나당 이익(EPS: earning per share)이 감소해 투자수익이 감소한다는 부작용이 있습니다. 그러므로 기업은 채권을 발행하거나 은행으로부터 대출을 받아서 자금을 도달하게 됩니다.기업 입장에서는 회사채를 발행하는 것이 은행 대출보다 유리한데, 대출의 경우 1~2년 후 상환을 해야 .. 2025. 4. 22.
CD(양도성 예금증서) 란? CD의 정의 및 특징에 대해 은행의 자금 조달 수단에는 아래와 같은 3가지가 있습니다. 1. 예금과 적금 유치 (주로 사용하는 일반적인 수단)2. 은행채 발행 (1년 이상의 자금 유치 목적)3. CD발행 (1년 이하의 단기 자금 유치 목적) 이 중에서 CD의 정의 및 어떻게 활용되는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CD (Certificate of Deposit) 란? 1. 정의 CD는 Certificate of Deposit의 줄임말입니다. Deposit 은 "예금", Certificate 는 "증명서"를 뜻하는 단어이므로, 한국어로는 CD를 "예금 증서"라고 번역할 수 있겠지만, 정식 명칭으로는 "양도성 예금 증서"라고 합니다. 2. 특징 (1) 양도가능, 해지불가 CD는 "예금"이라는 말이 포함되어 있지만, 예금과는 달리,.. 2025. 4. 16.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