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65

채권의 종류: 금융채란? (통안채, 국책은행채, 시중은행채, 기타금융채 등) 채권은 발행주체에 따라서 국채, 지방채, 공사채, 금융채, 회사채의 5가지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그중에서 금융채에 대해, 금융채의 의미와 여러 가지 종류의 금융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금융채란? 국가에서 발행하면 국채, 지방자치단체에서 발행하면 지방채, 공기업(공사)에서 발행하면 공사채라고 합니다. 마찬가지로 금융채는 금융기관이 발행한 채권을 말합니다. 즉, 은행, 카드, 캐피털 사 등 특별법에 의해 설립된 금융기관이 발행한 채권을 금융채라고 합니다. 금융채의 종류 금융채도 어디서 발행하는지에 따라서 다시 세분화할 수 있습니다. 1. 통안채 : 한국은행이 발행한 채권2. 국책은행채 : 산업은행 및 중소기업이 발행한 채권3. 시중은행채 : KB은행, 신한은행 등 시중은행이 .. 2025. 4. 16.
채권의 종류: 공사채 (국공채) 란? 투자하는 방법은? 채권은 발행 주체에 따라 구분하면 크게 다음과 같은 5가지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1. 국채2. 지방채3. 공사채4. 금융채5. 회사채 국채는 국가에서, 지방채는 지자체에서 발행한다는 것을 지난 포스팅에서 다뤘는데, 이번 포스팅에서는 공사채의 정의 및 투자하는 방법에 대해 간단히 알아보겠습니다. 공사채란? 공사채를 알기 위해서는 공기업에 대해 먼저 알아야 합니다. 1. 공기업이란? 공기업은 정부의 업무를 수행하기 위해 특별법에 의해 설립된 기업입니다. (1) 정부 산하 공기업 정부의 출자금으로 설립되어, 정부가 주요 대주주 및 경영의 주체가 되는 공기업을 정부 산하 공기업이라고 합니다.정부산하 공기업의 예로는 한국토지주택공사(LH), 한국전력공사, 한국도로공사 예금보호공사 등이 있습니다. (.. 2025. 4. 16.
채권의 종류 : 지방채와 소화첨가채 의미와 특징 채권을 발행주체에 따라 분류하면 국채, 지방채, 공사채, 금융채, 회사채의 5가지로 크게 나뉠 수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 대해서는 이 5가지 종류의 채권 중 지방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지방채란?   국채가 국가가 발행하는 채권이라면, 지방채(혹은 지역 채권)는 지방자치단체 (특별시, 광역시, 군 등)가 규정에 따라서 발행하는 채권입니다.  지자체가 채권을 발행하는 이유: 지방세 수입만으로 지방 살림을 꾸려나가기 부족할 경우, 국고보조금으로서 충당하기 위해서입니다. 발행 방법 : 국채처럼 정기적으로 채권을 공모하여 발행하지는 않습니다.  지방채는 첨가소화채가 대부분이기 때문입니다.    첨가소화채란?  세금을 붙여서, 즉 "첨가"해서, 투자자가 억지로 "소화"시키도록 하는 채권을 라고 합니다. 첨.. 2025. 4. 7.
물가연동국채 : 절세효과와 물가상승 위험 헤지 효과가 있는 채권 국채 중에서는 물가와 연동되는 국채가 있는데, 이를 물가연동국채라 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물가 연동 국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물가연동국채란? 국민연금이 좋은 이유는, 물가가 오르면 그만큼 연동이 되어 받는 금액도 늘어나기 때문입니다. 물가가 오르게 되면 보유하고 있는 현금성 자산의 가치는 떨어지게 되기 때문입니다. 채권 중에서도, 물가와 연동을 해서, 물가 상승으로 인한 손실을 보전해 주는 채권이 있는데, 채권의 원금 및 이자 지급액이 물가와 연동해서 바뀌게 됩니다. 재정경제부가 매월 입찰을 통해 발행하는 국채가 이러한 채권입니다. 물가가 오를 수록 이자도 많이 받고 원금도 더 많이 받기 때문에 재테크에 유리한 점이 많습니다.       물가와 연동시키는 방법 2가지 물가와 연동시키는 방법에는 .. 2025. 3. 3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