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분류 전체보기74

CD(양도성 예금증서) 란? CD의 정의 및 특징에 대해 은행의 자금 조달 수단에는 아래와 같은 3가지가 있습니다. 1. 예금과 적금 유치 (주로 사용하는 일반적인 수단)2. 은행채 발행 (1년 이상의 자금 유치 목적)3. CD발행 (1년 이하의 단기 자금 유치 목적) 이 중에서 CD의 정의 및 어떻게 활용되는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CD (Certificate of Deposit) 란? 1. 정의 CD는 Certificate of Deposit의 줄임말입니다. Deposit 은 "예금", Certificate 는 "증명서"를 뜻하는 단어이므로, 한국어로는 CD를 "예금 증서"라고 번역할 수 있겠지만, 정식 명칭으로는 "양도성 예금 증서"라고 합니다. 2. 특징 (1) 양도가능, 해지불가 CD는 "예금"이라는 말이 포함되어 있지만, 예금과는 달리,.. 2025. 4. 16.
채권의 종류: 금융채란? (통안채, 국책은행채, 시중은행채, 기타금융채 등) 채권은 발행주체에 따라서 국채, 지방채, 공사채, 금융채, 회사채의 5가지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그중에서 금융채에 대해, 금융채의 의미와 여러 가지 종류의 금융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금융채란? 국가에서 발행하면 국채, 지방자치단체에서 발행하면 지방채, 공기업(공사)에서 발행하면 공사채라고 합니다. 마찬가지로 금융채는 금융기관이 발행한 채권을 말합니다. 즉, 은행, 카드, 캐피털 사 등 특별법에 의해 설립된 금융기관이 발행한 채권을 금융채라고 합니다. 금융채의 종류 금융채도 어디서 발행하는지에 따라서 다시 세분화할 수 있습니다. 1. 통안채 : 한국은행이 발행한 채권2. 국책은행채 : 산업은행 및 중소기업이 발행한 채권3. 시중은행채 : KB은행, 신한은행 등 시중은행이 .. 2025. 4. 16.
채권의 종류: 공사채 (국공채) 란? 투자하는 방법은? 채권은 발행 주체에 따라 구분하면 크게 다음과 같은 5가지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1. 국채2. 지방채3. 공사채4. 금융채5. 회사채 국채는 국가에서, 지방채는 지자체에서 발행한다는 것을 지난 포스팅에서 다뤘는데, 이번 포스팅에서는 공사채의 정의 및 투자하는 방법에 대해 간단히 알아보겠습니다. 공사채란? 공사채를 알기 위해서는 공기업에 대해 먼저 알아야 합니다. 1. 공기업이란? 공기업은 정부의 업무를 수행하기 위해 특별법에 의해 설립된 기업입니다. (1) 정부 산하 공기업 정부의 출자금으로 설립되어, 정부가 주요 대주주 및 경영의 주체가 되는 공기업을 정부 산하 공기업이라고 합니다.정부산하 공기업의 예로는 한국토지주택공사(LH), 한국전력공사, 한국도로공사 예금보호공사 등이 있습니다. (.. 2025. 4. 16.
채권의 종류 : 지방채와 소화첨가채 의미와 특징 채권을 발행주체에 따라 분류하면 국채, 지방채, 공사채, 금융채, 회사채의 5가지로 크게 나뉠 수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 대해서는 이 5가지 종류의 채권 중 지방채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지방채란?   국채가 국가가 발행하는 채권이라면, 지방채(혹은 지역 채권)는 지방자치단체 (특별시, 광역시, 군 등)가 규정에 따라서 발행하는 채권입니다.  지자체가 채권을 발행하는 이유: 지방세 수입만으로 지방 살림을 꾸려나가기 부족할 경우, 국고보조금으로서 충당하기 위해서입니다. 발행 방법 : 국채처럼 정기적으로 채권을 공모하여 발행하지는 않습니다.  지방채는 첨가소화채가 대부분이기 때문입니다.    첨가소화채란?  세금을 붙여서, 즉 "첨가"해서, 투자자가 억지로 "소화"시키도록 하는 채권을 라고 합니다. 첨.. 2025. 4. 7.
반응형